이재명 정치인의 『결국 국민이 합니다』는 그의 정치철학과 국가 비전을 담은 저서로, 한국 사회의 불평등 문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이재명이 성남시장과 경기도지사 시절 추진했던 다양한 정책들의 이론적 배경과 실행 과정, 그리고 그 성과를 바탕으로 집필되었습니다.
현대 한국사회의 양극화와 불평등 심화, 경제 민주화의 필요성에 주목하며, '국민 중심의 정치'라는 그의 핵심 철학이 책 전반에 걸쳐 강조됩니다. 특히 기본소득, 지역화폐, 공정경제 등 이재명이 추진해 온 정책들의 이론적 근거와 실질적 효과를 상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 분석
1. 기본소득과 경제 민주화
책의 첫 번째 주요 논점은 기본소득 정책입니다. 이재명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심화되는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기본소득을 제시합니다. 특히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정책의 사례를 들어, 기본소득이 단순한 복지 차원을 넘어 경제 활성화와 지역경제 순환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또한 토지보유세와 탄소세 등을 통한 기본소득 재원 마련 방안도 구체적으로 제시하며, 이를 통해 재분배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2.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화폐
두 번째로 강조되는 것은 지역화폐입니다. 경기도 지역화폐 정책의 성공 사례를 바탕으로, 지역화폐가 지역 소상공인 지원과 골목상권 활성화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데이터를 통해 입증합니다. 특히 코로나19 시기 경제 위기 속에서 지역화폐가 보여준 경제 방어 효과를 상세히 분석하고 있습니다.
책에서는 지역화폐의 규모 확대와 더불어 사용 범위 확장, 결제 시스템 개선 등 향후 발전 방향도 제시하며, 국가 단위의 정책으로 확장할 가능성을 탐색합니다.
3. 공정과 정의의 정치
세 번째 주제는 '공정과 정의'입니다. 이재명은 책에서 한국 사회의 불공정 구조와 특권층의 기득권 문제를 날카롭게 지적합니다. 성남시 대장동 개발 사업과 같은 공공개발 모델을 통해 개발이익이 소수에게 독점되지 않고 공공에 환원되는 방식을 제안합니다.
또한 재벌 개혁과 경제 민주화, 조세 정의 실현 등 구체적인 정책 대안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진정한 의미의 공정 사회를 구현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4. 디지털 전환과 미래 비전
마지막으로 책은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전환 시대의 국가 비전을 제시합니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블록체인 등 신기술을 활용한 행정 혁신 사례와 함께,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적 노력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특히 경기도에서 추진했던 공공배달앱, AI 기반 행정 서비스 등의 사례를 통해, 기술 혁신이 공공성과 결합될 때 더 큰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점을 역설합니다.
책의 의의 및 비판적 평가
『결국 국민이 합니다』는 단순한 정치인의 자서전이나 정책 홍보서를 넘어, 한국 사회의 구조적 문제에 대한 진단과 대안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특히 경기도지사로서 실제 정책을 집행한 경험을 바탕으로 한 실증적 분석은 설득력을 더합니다.
그러나 비판적 관점에서 보면, 책에서 제시하는 정책들의 재정적 실현 가능성과 장기적 지속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될 수 있습니다. 또한 기본소득과 같은 진보적 정책에 대한 사회적 합의 형성 과정이 다소 단순화되어 있다는 점도 지적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이재명 특유의 강한 어조와 대립적 레토릭이 일부 독자들에게는 정치적 편향성으로 읽힐 가능성도 있습니다. 정책의 성과를 강조하는 과정에서 한계점이나 부작용에 대한 성찰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평가도 가능합니다.
결론
『이재명의 결국 국민이 합니다』는 현대 한국 사회의 불평등과 양극화 문제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대안을 담고 있는 책입니다. 실제 정책 경험을 바탕으로 한 구체적 사례 제시는 이론적 논의를 넘어 실천적 함의를 제공합니다.
이 책은 단순히 이재명이라는 정치인의 개인적 비전을 넘어, 한국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한 하나의 제안으로 읽을 수 있습니다. 독자들은 책에 담긴 정책과 비전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토론함으로써, 보다 건강한 사회적 담론을 형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결국 이 책의 제목처럼, 한국 사회의 미래를 결정하는 것은 '국민'입니다. 다양한 정치적 비전과 정책 대안 중에서 국민들이 어떤 선택을 할 것인지, 그리고 그 선택이 어떤 사회적 변화를 이끌어낼 것인지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도서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커스토익 인기 교재 TOP 5 : 최고의 토익 학습 가이드 (3) | 2025.04.17 |
---|---|
김호연의 『나의 돈키호테를 찾아서』 심층 분석 (9) | 2025.04.17 |
김동연의 '분노를 넘어': 경제학자에서 정치인으로, 그 사상과 비전에 대한 심층분석 (3) | 2025.04.16 |
『요즘 어른을 위한 최소한의 세계사』 - 6,000년 세계사를 한 권에 담아낸 역사 교양서 완벽 분석 (5) | 2025.04.16 |
『십 대, 인권의 주인공이 되다!』 책 심층분석 - 청소년 인권 이해를 위한 안내서 (10)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