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리뷰

앤 카슨의 '에로스, 달콤씁쓸한': 사랑의 역설에 대한 철학적 탐구

꿀깨비 2025. 4. 21. 20:00
반응형

앤 카슨의 '에로스, 달콤씁쓸한': 사랑의 역설에 대한 철학적 탐구

 

앤 카슨의 '에로스, 달콤씁쓸한'은 1986년 처음 출간된 이후 사랑과 욕망의 본질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로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아온 작품입니다. 최근 2025년 3월 한국어로 번역 출간되어 국내 독자들에게도 소개되었습니다. 이 책은 고대 그리스 문학과 철학을 바탕으로 에로스의 개념을 탐구하며, 사랑이 가진 달콤함과 쓰라림의 공존이라는 역설적 특성을 심도 있게 분석합니다.

저자 앤 카슨의 이력

앤 카슨(Anne Carson)은 1950년 6월 21일 캐나다 토론토에서 태어난 시인, 에세이스트, 번역가, 고전학자입니다.그녀는 토론토대학에서 고대 그리스어를 전공하고 1981년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스코틀랜드 세인트 앤드류스 대학에서도 그리스 운율 구조를 연구했습니다. 프린스턴, 에모리, 버클리, 미시간, 맥길 대학 등 여러 명문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2000년에는 맥아더 재단 펠로우십을 수상했습니다.

카슨은 장르의 경계를 넘나드는 독특한 문체와 고전 주제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능력으로 유명하며, 매년 노벨문학상 후보로 거론될 정도로 문학적 성취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그녀의 작품은 시, 소설, 에세이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며, 33년 동안 약 20권의 책을 출간했습니다.

 

반응형

'에로스, 달콤씁쓸한'의 개요와 구성

'에로스, 달콤씁쓸한'은 카슨의 1981년 고전문학 박사학위 논문을 개작한 학술적 저작으로, 35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책은 고대 그리스 여성시인 사포(BC 600?~?)가 처음으로 에로스를 '달콤씁쓸한 것'이라고 표현한 개념에서 출발하여 에로스의 본질을 탐구합니다.

주요 목차는 서문, 달콤씁쓸한, 사라진, 책략, 전술, 손을 뻗음, 가장자리 찾기, 가장자리의 논리, 가장자리의 상실, 가장자리의 아르킬로코스, 알파벳의 가장자리, 연인은 사랑에서 무엇을 원하나?, 쉼볼론, 새로운 의미, 역설적인 무언가, 나의 페이지는 사랑을 나눈다, 문자·편지, 접힌 의미들, 벨레로폰테스는 결국 완전히 잘못 알고 있다, 현실주의자, 얼음-쾌락, 지금 그때, 에로티코스 로고스, 옆으로 비켜서기, 살아 있는 것에 주는 피해, 미다스, 매미들, 재미와 이익을 위한 정원 가꾸기, 진지한 무언가가 결여되어 있다, 장악, 내게 그 부분을 다시 읽어줘, 지금이 시작되는 곳에서 그때는 끝난다, 날개는 얼마나 큰 차이를 낳는지, 이 대화편은 무엇에 관한 것인가?, 뮈토플로코스, 참고문헌, 옮긴이의 말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주요 내용과 철학적 의미

에로스의 정의와 본질

카슨은 에로스를 "'필요', '결핍', '없어진 것에 대한 욕망'"으로 정의합니다. 에로스적 욕망은 언제나 여기 없는 것을 향해 손을 뻗는 행위를 수반하며, 명사가 아닌 동사처럼 움직입니다. 에로스의 근본적 구성 요소는 결핍이며, 동시에 발생하는 쾌락과 고통이 바로 에로스의 증상입니다.

사랑의 역설적 특성

사포의 관점에서 에로스는 명확한 달콤함과 더 교묘한 쓰라림을 동시에 포함합니다. '달콤씁쓸한(sweetbitter)'이라는 표현은 갈망과 고통의 동시적 경험을 강조하며, 욕망의 저항할 수 없는 진행을 나타냅니다. 사랑과 증오의 상호작용은 에로스 경험의 중심에 있으며, 두 감정이 하나의 순간에 공존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경계와 간극의 문제

카슨은 "에로스는 경계의 문제"라고 말합니다. 에로스는 손이 닿을 듯 말 듯한 간극, 시선과 응시 사이, '사랑해'와 '나도 사랑해' 사이의 간격에서 살아납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경계는 '너와 나' 사이의 육체와 자아의 경계입니다. 그리고 역설적으로, 우리가 그 경계를 허물고 싶을 때 그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시간과 에로스의 관계

시간과 에로스의 복잡한 관계도 중요한 주제입니다. 사랑에 빠진 사람들은 시간의 선형성을 거부하고자 하며, '지금'과 '그때'의 대비 속에서 욕망은 시간을 초월하면서도 동시에 그 대비를 부각시킵니다. 카슨은 그리스어 부사 'dēute'를 통해 사랑 시에서의 시간 역설을 설명합니다.

 

책의 인기 요인과 의의

'에로스, 달콤씁쓸한'이 오랜 시간 사랑받아온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학문적 깊이와 문학적 아름다움의 조화: 카슨은 고전학자로서의 학문적 깊이와 시인으로서의 문학적 감수성을 결합하여 에로스에 대한 분석을 아름답게 표현합니다.
  2. 보편적 주제의 철학적 탐구: 사랑과 욕망이라는 인간의 보편적 경험을 철학적으로 탐구하면서도 일상적 경험과 연결시킵니다.
  3. 장르의 경계를 넘는 독특한 문체: 카슨은 학술적 분석과 시적 표현, 고전 텍스트와 현대적 해석을 자유롭게 넘나들며 독특한 문체를 선보입니다.
  4. 고전의 현대적 재해석: 고대 그리스 문학과 철학을 현대적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오늘날의 독자들에게도 의미 있는 통찰을 제공합니다.

이 책은 단순한 사랑 이야기가 아닌, "에로스라는 달콤씁쓸한 침입자를 기꺼이 껴안은 연인, 시인, 철학자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따지 않은 사과, 손이 닿을 듯 말 듯한 상대 연인, 완전히 획득하지 못한 의미는 모두 지식의 욕망할 만한 대상으로 제시됩니다.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