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엄유진 『순간을 달리는 할머니 2』 리뷰
엄유진 작가의 『순간을 달리는 할머니 2』는 알츠하이머를 앓고 있는 어머니와의 소중한 순간들을 따뜻한 연필 드로잉으로 담아낸 감동적인 웹툰집입니다. 기억을 잃어가는 할머니의 이야기를 통해 가족의 사랑, 생명의 소중함, 그리고 일상 속 작은 기적들을 재발견하게 해주는 작품으로, 독자들에게 깊은 울림과 위로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
📖 작품 개요 및 주요 내용
📌 기본 정보
『순간을 달리는 할머니 2』는 2025년 6월 문학동네에서 출간된 284쪽 분량의 웹툰집으로, 엄유진 작가가 인스타그램에서 연재하여 큰 사랑을 받은 '펀자이씨툰' 시리즈 중 어머니 이야기만을 모아 엮은 특별한 작품입니다. 🌟
🎯 주요 내용 분석
작품의 핵심은 알츠하이머 진단을 받은 우애령 작가(엄유진의 어머니)의 일상과 가족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드러나는 인간의 존엄성과 사랑의 본질입니다. 작가는 어머니의 기억 상실이라는 아픈 현실을 유머와 따뜻함으로 승화시켜, 독자들에게 삶의 진정한 의미를 되새기게 합니다. ✨

🔍 작품의 구성과 특징
- 연필 드로잉 스타일: 부드럽고 따뜻한 흑백 톤에 분홍색 포인트를 더한 독특한 화풍
- 짧은 호흡의 에피소드: 인스타그램 특성에 맞춘 10장 내외의 간결한 구성
- 일상적 소재: 놀이터에서의 만남, 가족 대화, 소소한 일상의 순간들

👨👩👧👦 등장인물 심층 분석

작품에 등장하는 가족 구성원들은 각각 독특한 개성과 매력을 지니고 있으며, 이들의 상호작용이 작품의 핵심적인 재미와 감동을 만들어냅니다.
🌸 우애령 (할머니)
- 배경: 소설가이자 상담사, 이화문학상 수상 작가
- 특징: 알츠하이머 투병 중에도 잃지 않는 유머와 위트
- 작품에서의 역할: 지혜와 사랑의 상징, 삶의 본질을 보여주는 캐릭터
🎓 엄정식 (할아버지)
- 배경: 서강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하버드 대학교 교환교수 역임
- 특징: 82세의 나이에도 깊은 철학적 통찰력 유지
- 최근 상황: 파킨슨병 진단을 받아 아내와 함께 건강 문제를 겪고 있음

🎨 엄유진 (작가)
- 학력: 이화여대 정보디자인과 졸업, 영국 킹스턴 대학교 일러스트레이션 석사
- 경력: 프리랜서 일러스트레이터에서 인스타툰 작가로 전향
- 작품 활동: 2017년 펀자이씨툰 시작, 현재 20만 팔로워 보유
👨👩👧 기타 가족 구성원
- 파콘 (남편): 태국인으로 유쾌한 성격의 소유자
- 짠이 (딸): 호기심 많은 어린 딸로 성장하는 모습이 감동적
- 미루 (반려견): 대형견으로 가족의 조화로운 일원
📊 작품 분석 데이터

엄유진 작가의 활동 연대기를 살펴보면, 2017년 펀자이씨툰을 시작한 이후 꾸준한 성장을 보여왔습니다.

작품의 주요 테마 분석에서 가장 높은 독자 반응을 얻은 것은 '유머와 위트'(9.8점)였으며, '가족의 사랑'(9.5점)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
🎭 감정적 울림과 치유의 메시지
『순간을 달리는 할머니 2』를 읽으면서 가장 깊이 느낀 것은 작가의 성숙한 시선과 따뜻한 마음입니다. 알츠하이머라는 무거운 주제를 다루면서도 절망이나 비관에 빠지지 않고, 오히려 그 속에서 찾아낸 작은 기쁨과 희망을 독자와 나누는 작가의 태도가 감동적입니다. 😊
어머니가 "기억을 잃는다는 것이 나쁜 것만은 아니다. 추리소설을 아무리 읽어도 범인이 누군지 기억이 안 나서 매번 재밌게 읽을 수 있다"고 말씀하신 에피소드는 독자들에게 큰 웃음과 동시에 깊은 생각거리를 제공합니다. 이처럼 작품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긍정적인 관점과 유머는 같은 상황에 있는 많은 가족들에게 위로와 힘이 될 것입니다. 💪
🖼️ 예술적 가치와 표현 기법
작가의 연필 드로잉 기법은 단순하면서도 강력한 감정 전달력을 보여줍니다. 흑백 톤에 분홍색 포인트를 더한 독특한 스타일은 '펀자이씨툰'만의 시그니처가 되었으며, 이는 독자들에게 따뜻함과 친근함을 동시에 전달합니다. 복잡한 색상이나 화려한 효과 없이도 깊은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것은 작가의 뛰어난 표현력을 보여주는 증거입니다. ✏️
특히 짧은 호흡의 에피소드 구성은 인스타그램이라는 매체의 특성을 잘 살린 것으로, 바쁜 현대인들도 부담 없이 읽을 수 있으면서도 깊은 여운을 남기는 효과를 창출합니다. 이는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문학 형식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시도라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 사회적 의미와 문화적 가치
이 작품은 단순한 개인사를 넘어서 고령화 사회의 현실과 치매라는 사회적 문제를 다룬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습니다. 치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고, 환자와 가족들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문화 가족의 일상을 자연스럽게 그려내어 사회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포용하는 메시지도 담고 있습니다.🌈
예술치료의 관점에서도 이 작품은 의미가 깊습니다. 실제로 치매 환자들을 위한 문화예술치유 프로그램들이 활발히 운영되고 있는 현실에서, 이러한 작품들이 치료적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
🎯 작품의 한계와 아쉬운 점
물론 작품에 아쉬운 부분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때로는 지나치게 긍정적인 시각으로만 상황을 바라보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으며, 실제 치매 환자 가족들이 겪는 현실적인 어려움들이 다소 미화되어 표현된 것은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들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는 작가가 의도적으로 선택한 관점으로, 절망보다는 희망을, 아픔보다는 사랑을 전달하고자 하는 작가의 철학이 반영된 결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
🏆 결론 및 추천
『순간을 달리는 할머니 2』는 현대 한국 문학계에서 보기 드문 따뜻함과 지혜를 담은 작품입니다. 가족의 사랑, 삶의 의미, 그리고 어려운 상황에서도 찾아낸 희망의 메시지는 모든 세대의 독자들에게 깊은 감동을 선사할 것입니다. 특히 고령화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 꼭 필요한 성찰과 위로를 제공하는 의미 있는 작품으로 강력히 추천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