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가 최근 다양한 논란에 휩싸이며 주가 하락과 소비자 신뢰 하락이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습니다. 3월 28일 첫 정기 주주총회에 참석한 백 대표의 공식 사과 이후 주가가 상승세를 보이면서 회복의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과연 이 상승세가 지속될 수 있을지는 여전히 불확실합니다.
논란의 배경과 현황
원산지 표시법 위반 논란
서울 농산물품질관리원 특별사법경찰은 3월 13일 백종원 대표가 원산지 표시법을 위반했다며 공식 기소했습니다. 백종원의 백석된장이 국내산으로 광고됐지만 실제로는 중국산 개량메주와 미국, 캐나다, 호주산 콩이 사용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또한 한신포차의 낙지볶음도 국내산 파, 양파, 마늘을 사용했다고 광고했으나 중국산 마늘이 사용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 위반 혐의로 백 대표는 최대 7년의 징역이나 1억원의 벌금에 처할 수 있습니다.
농지법 위반 의혹
더본코리아의 백석공장이 농업진흥구역에 위치하면서도 수입 원재료를 사용한 것이 문제가 되었습니다. 농업진흥구역 내 식품제조시설은 국내산 농수산물만 사용해야 한다는 규정을 위반한 경우 최대 5년의 징역이나 5천만원의 벌금에 처할 수 있습니다.
제품 품질 논란
'빽햄'의 돼지고기 함량 부족 및 가격 논란, 귤맥주의 귤 함량 미비, 국내 양계농가 지원을 위한 제품이라고 소개했으나 실제로는 브라질산 닭고기를 사용한 밀키트 등 다양한 제품 품질 이슈가 불거졌습니다.
식품 안전 논란
2024년 8월 예산 맥주축제에서 플라스틱 같은 물질이 달라붙은 탄 닭고기, 상온에 보관된 고기, 맨손이나 식품용이 아닌 장갑으로 닭을 다루는 직원들이 목격되면서 위생 문제가 제기되었습니다. 또한 농약분무기를 사용해 소스를 뿌리는 모습이 영상에 담겨 논란이 되었고, 실내에서 LPG 용기를 화로 가까이 두는 액화석유가스 안전관리법 위반 사례도 지적되었습니다.
허위 광고 의혹
빽다방의 '쫀득 고구마빵'이 '국내산 농산물로 만들어진' 제품으로 광고되었으나 중국산 원료가 포함되었다는 의혹으로 서울 강남경찰서가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주가 현황과 대응 전략
주가 하락과 최근 반등
더본코리아 주가는 2024년 11월 8일 64,500원 최고점에서 2025년 3월 18일 27,800원까지 약 53% 하락했습니다. NH투자증권에 따르면 더본코리아 주식을 보유한 18,115명의 투자자 중 99.99%가 평균 -25.66%의 손실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3월 28일 주주총회에서 백 대표의 직접 사과 이후 주가는 9.90% 상승한 31,650원을 기록하며 반등했습니다.
백종원 대표의 사과와 대응
백 대표는 3월 13일과 21일 두 차례 더본코리아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사과문을 발표했으며, 3월 28일 첫 정기 주주총회에 직접 참석해 "경영자로서 철저하게 관리하지 못한 점 뼈저리게 반성하고 있다"며 90도로 고개를 숙였습니다. 그는 논란이 된 '빽햄' 생산을 중단하고,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기업 실적
2024년 더본코리아는 매출이 전년 대비 13% 증가한 4,640억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은 40.8% 증가한 360억원을 달성했습니다. 회사는 주당 300원의 배당을 결정했고, 백 대표(60.78% 주식 보유)는 17.6억원의 배당금을 받을 예정입니다.
주가 상승 지속 가능성 분석
백 대표의 직접 사과로 인한 주가 반등이 지속될지는 다음 요인들에 달려 있습니다:
투명성 강화 이행: 약속한 원산지 공개 시스템과 외부 전문가 모니터링이 실질적으로 이행되는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법적 결과: 원산지 표시법 위반과 농지법 위반 의혹에 대한 법적 처벌 수위가 주가에 큰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소비자 신뢰 회복: 단기적 주가 반등보다 더 중요한 것은 소비자 신뢰 회복인데, 이는 시간이 필요한 과제입니다.
재무 성과 지속: 비판에도 불구하고 더본코리아의 실적이 양호하다는 점은 주가 회복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로서는 단기적 반등 이후 주가가 안정화 단계로 접어들 가능성이 높으며, 법적 문제 해결과 소비자 신뢰 회복이 확인되기 전까지는 공모가인 34,000원 회복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사태 해결 전망과 바람직한 해결책
향후 전망
더본코리아와 백종원 대표가 직면한 다양한 논란은 단기간에 해결되기 어려운 복합적 문제입니다. 법적 처벌 결과가 나오기까지 수개월이 소요될 수 있으며, 소비자 신뢰 회복은 더 긴 시간이 필요할 것입니다. 주주총회에서 강조한 내부 시스템 재점검과 투명성 강화가 실질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점진적 회복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바람직한 해결책
투명성 강화와 정보 공개: 원산지 표시와 제품 정보에 관한 완전한 투명성을 보장하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합니다. 백 대표가 주주총회에서 언급한 "원산지 공개 시스템"이 실질적으로 운영되어야 합니다.
제품 품질 개선: '빽햄'과 같이 논란이 된 제품들을 소비자 기대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재설계하거나 중단해야 합니다.
지배구조 개선: 백 대표 개인의 이미지에 의존하는 현재 구조를 개선하고, 전문 경영인 참여와 독립적인 이사회 강화가 필요합니다.
소통 채널 강화: 주주총회에서 언급한 "주주들과의 소통 강화"와 "가맹점 주와의 소통"이 실천되어야 합니다. PR팀 신설도 필요한 조치입니다.
산업 표준 선도: 위기를 기회로 삼아 프랜차이즈 식품산업 내 윤리적 경영과 식품 안전의 표준을 높이는 선도 기업으로 재탄생할 필요가 있습니다.
백종원 대표는 "지역 활성화"에 대한 자신의 철학을 언급하며 "비판받더라도 안전이 보장된 상황에서 지역 활성화에 도움이 되고 싶다"는 의지를 표명했습니다. 이러한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면서도 기업의 법적, 윤리적 책임을 다하는 균형이 필요합니다.
결론적으로, 더본코리아의 위기 극복은 백종원 대표의 개인적 사과나 단기적 주가 부양책이 아닌, 기업 시스템과 문화의 근본적 개선에 달려 있습니다. 투명성, 소통, 품질에 대한 진정성 있는 접근이 이루어진다면, 현재의 위기는 더 강한 기업으로 재탄생하는 전환점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담보대출 이자 부담 줄이는 효과적인 전략: 기준금리 하락기에 알아두면 좋은 팁 (6) | 2025.03.29 |
---|---|
배당주 투자의 안내서: "나는 1년간 129번 배당을 받습니다" 심층 분석 (9) | 2025.03.28 |
정치적 공백기의 식품 가격 인상: 원인 분석과 소비자 대응 전략 (8) | 2025.03.28 |
한국 가계부채의 위기: 고위험 가구 증가 현상 심층분석 (5) | 2025.03.28 |
2025년 3월 한국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 비교 및 추천 상품 분석 (1) |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