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파월 의장의 매파적 발언: 관세와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와 통화정책 전망

꿀깨비 2025. 4. 7. 21:36
반응형

파월 의장의 매파적 발언: 관세와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와 통화정책 전망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상승시키고 경제 성장을 둔화시킬 것이라는 우려를 표명하며 매파적 입장을 유지했습니다. 이러한 발언은 금융시장의 금리 인하 기대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파월 의장의 핵심 발언과 관세에 대한 우려


파월 의장은 2025년 4월 4일 버지니아주 알링턴에서 열린 콘퍼런스 연설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인상 정책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표명했습니다.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은 상황이지만, 관세 인상이 예상보다 훨씬 더 클 것이라는 점이 분명해지고 있다"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경제적 영향 역시 예상보다 클 것이며, 이는 "인플레이션 상승과 성장 둔화를 포함할 것"이라고 진단했습니다.

특히 주목할 부분은 파월 의장이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영향이 일시적인 것을 넘어 지속적일 수 있다고 경고한 점입니다. 그는 "높은 관세가 미국 경제에 영향을 미치면서 향후 몇 분기 동안 인플레이션을 상승시킬 가능성이 크다"면서 "관세가 적어도 일시적인 인플레이션 상승을 유발할 가능성이 매우 크고 그 영향이 더 지속적일 수도 있다"라고 언급했습니다.

반응형

 


통화정책에 대한 신중한 접근과 매파적 기조


파월 의장은 이러한 상황에서도 통화정책 변화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유지했습니다. 그는 "연준이 정책 기조에 대한 조정을 고려하기 전에 더 큰 명확성을 기다릴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으며, 통화정책의 적절한 경로가 무엇인지 말하기에는 너무 이르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우리는 서두를 필요가 없다"며 매파적인 입장을 명확히 했습니다.

이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금리 인하를 서두르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실제로 파월 의장은 "연준이 금리를 인하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리더라도 인플레이션 충동의 한가운데에 있기 때문에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늦고 느리게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점을 시사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과의 갈등과 금리 인하 압박

이러한 파월 의장의 매파적 태도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갈등을 더욱 깊게 만들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파월 의장에게 금리 인하를 재차 압박했습니다. 트럼프는 트루스소셜을 통해 "지금은 파월 의장이 금리를 인하하기 완벽한 시기"라면서 "그는 항상 늦는 편인데, 지금이 바로 이미지 변신을 할 기회"라고 언급했습니다. 나아가 "금리를 인하하세요, 제롬! 그리고 정치놀음은 이제 그만 두세요"라고 촉구했습니다.

금융시장의 반응과 금리 인하 기대감

파월 의장의 매파적 발언은 금리 인하 기대에 찬물을 끼얹는 효과를 가져왔습니다. 그러나 흥미롭게도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시장은 오히려 금리 인하 가능성을 더 높게 예상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장 마감 무렵 연준이 올해 상반기에 기준금리를 25bp 이상 인하할 확률은 96.2%로 크게 높아졌으며, 연내 2차례 이상 인하 가능성은 92.8%, 3차례 이상 인하 가능성은 69.8%로 반영되었습니다.

이는 시장이 관세 인상과 그에 따른 경제 성장 둔화 우려가 결국 연준의 금리 인하를 불가피하게 만들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의 변동성지수(VIX)가 전장 대비 15.29포인트(+50.93%)나 치솟은 45.31을 기록한 것도 이러한 불확실성과 우려를 반영합니다.

반응형

 


관세와 인플레이션의 함정

파월 의장이 우려하는 것처럼, 관세는 일반적으로 소비자 가격 상승으로 이어집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10% 관세와 주요 교역국에 대한 추가 고율 관세는 미국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 특히 일부 교역 파트너들이 이미 보복 관세를 선언했다는 점에서 글로벌 무역 긴장이 고조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중앙은행의 입장에서는 이런 상황이 정책 결정을 매우 복잡하게 만듭니다. 인플레이션 압력은 금리 인하를 어렵게 하는 반면, 경제 성장 둔화는 금리 인하의 필요성을 높이기 때문입니다. 파월 의장은 "우리의 책임은 장기 인플레이션 기대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고, 일시적인 가격 상승이 지속적인 인플레이션 문제로 발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향후 전망

관세로 인한 경제적 영향은 단순히 인플레이션 상승에 그치지 않습니다. 소비자 가격 상승은 구매력 감소로 이어질 수 있고, 기업들은 비용 증가와 공급망 혼란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이는 궁극적으로 경제 성장 둔화와 고용 시장에까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파월 의장은 현재 경제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고 평가하면서도, 관세로 인한 위협을 강조했습니다. 소비자 설문조사에서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미래 성장에 대한 기대가 약화되고 있다는 점도 언급했습니다.

결국 연준의 향후 정책 방향은 관세가 실제로 경제와 물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 효과가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지에 달려 있을 것입니다. 파월 의장의 매파적 발언은 인플레이션 통제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는 동시에, 경제 상황에 따라 신중하게 대응하겠다는 의지도 반영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